국제

슬슬 주유할 때인가? 사우디 '원유 증산' 소식에.. 기름값 '출렁'




사우디아라비아가 원유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특히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원유 공급 확대 가능성과 더불어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겹치면서 유가 하락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30일(현지시간) 뉴욕 및 런던 선물시장에서 거래된 국제유가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ICE 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브렌트유 선물 근월물 종가는 배럴당 63.12달러를 기록하며 전장보다 1.13달러(-1.76%) 하락했다.

더 큰 낙폭을 보인 것은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인도분 WTI 근월물 종가는 배럴당 58.21달러로 마감하며 전장 대비 2.21달러(3.66%) 급락했다. 이는 종가 기준으로 2021년 3월 이후 약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불과 한 달 전과 비교해도 유가 하락세는 두드러진다. 4월 한 달 동안 브렌트유 가격은 약 15%, WTI 가격은 약 18% 급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웠다.

이날 유가 하락의 가장 큰 요인은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발(發) 소식이었다. 사우디가 기존의 감산 방침을 철회하고, 오는 5월 열리는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 회의에서 회원국들에게 증산을 제안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이는 시장에 원유 공급이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을 불어넣었고, 이는 곧바로 유가 하락으로 이어졌다. OPEC+는 그동안 시장 안정을 명분으로 감산을 유지해왔으나, 사우디의 입장 변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정책 변화에 대한 가능성이 커졌다.





공급 확대 기대감과 더불어 원유 수요 약화에 대한 우려도 유가에 지속적인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미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0.3% 후퇴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주요국의 경제 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기가 둔화되면 산업 활동과 이동이 줄어들면서 원유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미중 무역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더해지며 원유 수요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투자은행 레이몬드 제임스의 파벨 몰초노프 애널리스트는 현재 시장 상황에 대해 "무역전쟁이 직접적으로 석유 수요를 줄이고 소비자들의 여행을 줄이는 가운데, OPEC+의 감산 철회 가능성에 따른 공급 과잉 위험이 고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공급 증가 가능성과 수요 감소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유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사우디의 증산 가능성 시사, 주요국의 경기 둔화 조짐, 그리고 무역 갈등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국제유가는 당분간 하방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에너지 수입국인 우리나라에게는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으나, 급격한 유가 변동은 시장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어 상황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